맥박은 건강의 지표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요소입니다. 맥박수는 언제 어디서든 측정 가능하며 이를 통해 현재 본인의 몸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맥박의 정상수치는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맥박 정상수치를 알아보고 맥박이 높을때 어떻게 낮춰야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맥박이란?
맥박은 쉽게 말해 1분 동안에 심장이 뛰는 횟수를 맥박이라고 합니다. 맥박은 너무 빨리 뛰어도 문제가 되며 반대로 너무 느리게 뛰어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맥박수 재는 방법
가.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왼손 바닥이 천장을 향하게 합니다.
나. 오른손으로 왼손 손목을 바깥쪽으로 돌려 감싸줍니다.
다. 검지, 중지, 약지를 맥이 뛰는 요골동맥 위에 살포시 놓아줍니다.
라. 10초 동안 맥박수를 세려 줍니다.
마. 10초 동안 뛴 맥박 곱하기 6을 하면 1분 동안의 맥박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맥박수는 잠에서 깨어난 후 누워서 맥박수를 재는 것이라고 합니다
3. 맥박수 정상수치
성인의 맥박수는 안정시 분당 60~ 80회 정도 뛰는 것을 가장 건강한 상태로 봅니다. 또한 맥박이 느렸다가 갑자기 빨리 뛴다면 병원에 가서 확인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4. 맥박이 빨리 뛰는 이유
맥박이 빨리 뛰는 이유
운동을 하거나 긴장을 할 때 맥박이 빨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동을 하지 않거나 움직임이 거의 없더라도 맥박이 마치 운동 중인 것처럼 빨리 뛰는 사람이 있습니다. 대부분 몸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들이 맥박수가 빠른 경우가 많으며 맥박수가 높다는 것은 심장 이외에 다른 상태가 좋지 않다는 증거일 수 있습니다
맥박이 빠를때 나타나는 질환
맥박이 빠른경우 본인은 쉬고 있지만 심장은 계속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심장에 많은 무리가 가게 됩니다. 심장에 무리가 가게 되면 혈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맥박이 안정시 분당 90회 이상인 분들은 심혈관질환 발생률과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률이 2.7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맥박이 빨리 뛰는 사람들은 두통, 이명, 안압 상승, 불면증, 안구건조증, 입마름, 심장의 두근거림, 불안증 같은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맥박수를 낮추기 위한 방법
고강도 운동하기
고강도 운동을 하면 안정시 심박수가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고강도 운동을 힘들어하는 분들이 계신데요. 30분 정도 걷다가 마무리로 1~2분 정도 고강도 운동을 해도 안정 시 맥박수를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저강도 운동은 안정 시 심박수를 낮추는데 큰 도움이 안 된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TIP 단 체중이 많이 나간다면 체중감량을 한 뒤에 고강도 운동을 추가하여 맥박수를 낮추는 걸 추천드립니다. 또한 갑자기 무리한 운동은 몸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니 강도를 조금씩 높이시길 바랍니다
흡연하기
흡연을 하는 분들은 흡연 자체가 안정시 맥박수를 높이게 됩니다. 또한 흡연은 당뇨, 암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의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데요. 금연도 안정시 심박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줄이기
맥박수를 높이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스트레스입니다. 본인의 생활습관 중에 심박수를 높이는 안 좋은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개선한다면 맥박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수면
규칙적이지 못한 수면을 할 경우 안정시 맥박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수면을 같은 시간에 일정하게, 일정한 양으로 하는 습관을 가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맥박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을 다뤄 보았습니다. 안정시 맥박수가 중요한 이유는 언제든지 본인의 맥박수를 측정하여 본인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모두들 주기적으로 맥박수를 측정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 효능 및 부작용 한방에 정리하기 (0) | 2023.04.07 |
---|---|
계란 삶는 시간 & 좋은 계란 고르는 방법 쉽게 정리 (0) | 2023.01.05 |
링 피트 어드벤처 : 즐겁게 운동하고 싶은 분들 강력 추천! (0) | 2023.01.02 |
올리브영 온열안대 ㅣ 데일리 아이마스크로 눈피로 없애기 (1) | 2022.10.11 |
일회용 온열안대 추천 (안구건조증이 있다면 들어오세요!) (0) | 2022.10.09 |
댓글